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환경의 파괴로 인하여 환경 복원과 주거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과 그 중요성이 급부각됨으로써 전문인력으로 하여금 생활공간을 아름답게 꾸미고 자연 환경을 보호하고자 도입 제정하였다.
조경기능사는 조경설계도면 작성과 도면 판독으로 조경공사 시공에 따른 지반 고르기, 나무심기, 시설물 설치 등 주로 실무적인 업무를 담당한다.
또한 조경수목과 조경시설물을 보호 및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과정평가형 자격취득 가능 종목 : 조경기능사 자격의 검정방식은 기존의 검정형과 과정평가형을 병행하여 운영되고 있다.
조경식재 및 조경시설물 설치공사업체, 공원(실내, 실외), 학교,아파트 단지 등의 관리부서, 정원수 및 재배업체에 취업할 수 있다.
조경공사는 건축물이 어느 정도 완공된 시점부터 시작되므로 건설경기가 회복된 시점 보다 1∼2년 정도 늦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조경기능사 자격취득자에 대한 인력수요는 당분간 현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지만 각종 자연의 파괴, 대기오염, 수질오염 및 소음 등 각종 공해문제가 대두됨으로써 쾌적한 생활환경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조경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어 장기적으로 인력수요는 증가할 전망이다.
교육명 | 목표 | 교육내용 | 대상 |
---|---|---|---|
조경기능사필기 | 조경일반 조경재료 조경시공 및 관리 |
동서양 조경사, 경관구성, 조경계획 및 설계 조경제도, 조경재료, 주경수목의 기초/기능식재 표토보존, 병해예방, 목재/석재/콘크리트 유지관리 비료, 조경계획과정, 옥상정원, 조경이론 시방서, 조경일반, 눈가림, 화단, 운동시설, 제도용구 | 조경시설물설치업 옥상조경업 실내조경업 종사자 주택(건물, 빌딩) 관리자 및 기술자 |
조경기능사 실기 | 조경설계 조경관리방법 |
조경설계기초, 단면도, 휴게공간설계 공원설계, 가로공원, 아파트조경, 아파트단지내 조경설계 공공정원의 조경설계 제도실습, 벽돌포장, 교목식재 관목군식, 상세도와 개념도, 도로변 소공원 단면도 옹벽 및 잡석 그리기, 도면작성 |
종목명 |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조경기능사 | 2023 | 17,970 | 9,282 | 51.70% | 8,846 | 7,762 | 87.70% |
조경기능사 | 2022 | 16,486 | 8,681 | 52.70% | 8,705 | 7,474 | 85.90% |
조경기능사 | 2021 | 18,092 | 8,401 | 46.4% | 8,537 | 7,431 | 87% |
조경기능사 | 2020 | 13,443 | 6,241 | 46.4% | 6,235 | 5,659 | 90.8% |
조경기능사 | 2019 | 12,842 | 5,229 | 40.7% | 5,692 | 5,194 | 91.3% |
조경기능사 | 2018 | 10,656 | 4,480 | 42% | 5,383 | 5,006 | 93% |
조경기능사 | 2017 | 8,951 | 4,359 | 48.7% | 5,063 | 4,460 | 88.1% |
조경기능사 | 2016 | 9,222 | 3,979 | 43.1% | 4,922 | 4,334 | 88.1% |
조경기능사 | 2015 | 9,844 | 3,967 | 40.3% | 4,985 | 4,180 | 83.9% |
조경기능사 | 2014 | 10,166 | 3,441 | 33.8% | 4,718 | 4,211 | 89.3% |
조경기능사 | 2013 | 10,561 | 3,725 | 35.3% | 4,986 | 4,533 | 90.9% |
조경기능사 | 2012 | 10,246 | 4,156 | 40.6% | 5,243 | 4,576 | 87.3% |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2025년 정기 기능사 1회 | 2025.01.06 ~ 2025.01.09 [빈자리접수 : 2025.01.15 ~ 2025.01.16] |
2025.01.21 ~ 2025.01.25 |
2025.02.06 | 2025.02.10 ~ 2025.02.13 | 2025.03.15 ~ 2025.04.02 | 2025.04.18 |
2025년 정기 기능사 2회 | 2025.03.17 ~ 2025.03.21 |
2025.04.05 ~ 2025.04.10 |
2025.04.16 | 2025.04.21 ~ 2025.04.24 | 2025.05.31 ~ 2025.06.15 | 2025.07.04 |
2025년 정기 기능사 3회 | 2025.06.09 ~ 2025.06.12 |
2025.06.28 ~ 2025.07.03 |
2025.07.16 | 2025.07.28 ~ 2025.07.31 | 2025.08.30 ~ 2025.09.17 | 2025.09.30 |
2025년 정기 기능사 4회 | 2025.08.25 ~ 2025.08.28 |
2025.09.20 ~ 2025.09.25 |
2025.10.15 | 2025.10.20 ~ 2025.10.23 | 2025.11.22 ~ 2025.12.10 | 2025.12.24 |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력부문의 투자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가경제의
효율성 측면에도 주요하다.
하지만 자칫 전기를 소홀하게 다룰 경우 큰 사고의 위험도 많다.
그러므로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 유지·보수에 관한 전문 자격제도를 실시해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해 안전성을 높이고자 자격제도 제정하였다.
전기기사는 주로 전기기계기구의 설계, 제작,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 크기,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 그리고 전기설비의 설계, 도면 및 시방서 작성, 점검 및 유지, 시험작동, 운용관리 등에 있어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관리 담당자로서의 업무를 수행한다.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전기기기 설비업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환경시설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
또한 전기부품·장비·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 실험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기 위해 생산업체
의 연구실 및 개발실에 종사하기도 한다.
발전, 변전설비가 대형화되고 초고속·초저속 전기기기의 개발과 에너지 절약형, 저손실 변압기, 전동력 속도제어기, 프로그래머블콘트럴러 등 신소재 발달로 에너지 절약형 자동화기
기의 개발, 또 내선설비의 고급화, 초고속 송전, 자연에너지 이용확대 등 신기술이 급격히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하게 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전기사업법」등 여러 법에서 전기의 이용과 설비 시공 등에서 안전관리를 위해
자격증 소지자를 고용하도록 하고 있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다.
교육명 | 목표 | 교육내용 | 대상 |
---|---|---|---|
전기산업기사 | 전기자기학 | 벡터, 전류, 전자계의 기본개념 | 공동주택 및 집합건물 전기설비관리 담당자 |
전력공학 | 가공송전선로, 유도장해 및 이상전압, 다양한 발전방식 | ||
전기기기 | 발전기, 변압기, 유도기, 정류기의 구비조건 | ||
회로이론 | 직류 및 교류이론, 단자 회로망, 회로이론의 공식 | ||
전기설비기준 | 전기설비, 전선로, 전기사용 장소의 공사방법 |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전기과, 전기공학과, 전기시스템과, 전기자동화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방송, 건설, 기계, 재료, 정보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종목명 |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전기산업기사 | 2023 | 29,955 | 5,577 | 18.60% | 11,193 | 5,668 | 50.60% |
전기산업기사 | 2022 | 31,121 | 6,692 | 21.50% | 16,223 | 3,917 | 24.10% |
전기산업기사 | 2021 | 37,892 | 6,991 | 18.4% | 18,416 | 5,020 | 27.3% |
전기산업기사 | 2020 | 34,534 | 8,706 | 25.2% | 18,082 | 4,955 | 27.4% |
전기산업기사 | 2019 | 37,091 | 6,629 | 17.9% | 13,179 | 4,486 | 34% |
전기산업기사 | 2018 | 30,920 | 6,583 | 21.3% | 12,331 | 4,820 | 39.1% |
전기산업기사 | 2017 | 29,428 | 5,779 | 19.6% | 12,159 | 4,334 | 35.6% |
전기산업기사 | 2016 | 27,724 | 5,790 | 20.9% | 11,031 | 2,933 | 26.6% |
전기산업기사 | 2015 | 24,075 | 4,582 | 19% | 10,837 | 3,528 | 32.6% |
전기산업기사 | 2014 | 20,663 | 3,565 | 17.3% | 7,352 | 2,187 | 29.7% |
전기산업기사 | 2013 | 20,164 | 3,097 | 15.4% | 6,030 | 1,649 | 27.3% |
전기산업기사 | 2012 | 20,834 | 2,507 | 12% | 5,388 | 2,576 | 47.8% |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2025년 정기 기사 1회 | 2025.01.13 ~ 2025.01.16 [빈자리접수 : 2025.02.01 ~ 2025.02.02] |
2025.02.07 ~ 2025.03.04 |
2025.03.12 | 2025.03.24 ~ 2025.03.27 | 2025.04.19 ~ 2025.05.09 | 2025.06.13 |
2025년 정기 기사 2회 | 2025.04.14 ~ 2025.04.17 |
2025.05.10 ~ 2025.05.30 |
2025.06.11 | 2025.06.23 ~ 2025.06.26 | 2025.07.19 ~ 2025.08.06 | 2025.09.12 |
2025년 정기 기사 3회 | 2025.07.21 ~ 2025.07.24 |
2025.08.09 ~ 2025.09.01 |
2025.09.10 | 2025.09.22 ~ 2025.09.25 | 2025.11.01 ~ 2025.11.21 | 2025.12.24 |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력부문의 투자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가경제 의 효율성 측면에도 주요하다.
하지만 자칫 전기를 소홀하게 다룰 경우 큰 사고의 위험도 많다.
그러므로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 유지·보수에 관한 전문 자격제도를 실시 해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해 안전성을 높이고자 자격제도 제정하였다.
전기기사는 주로 전기기계기구의 설계, 제작,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 크기,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 그리고 전기설비의 설계, 도면 및 시방서 작성, 점검 및 유지, 시험작동, 운용관리 등에 있어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관리 담당자로서의 업무를 수행한다.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전기기기 설비업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환경시설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
또한 전기부품·장비·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 실험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기 위해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에 종사하기도 한다.
발전, 변전설비가 대형화되고 초고속·초저속 전기기기의 개발과 에너지 절약형, 저손실 변압기, 전동력 속도제어기, 프로그래머블콘트럴러 등 신소재 발달로 에너지 절약형 자동화기기의 개발, 또 내선설비의 고급화, 초고속 송전, 자연에너지 이용확대 등 신기술이 급격히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하게 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전기사업법」등 여러 법에서 전기의 이용과 설비 시공 등에서 안전관리를 위해 자격증 소지자를 고용하도록 하고 있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다.
교육명 | 목표 | 교육내용 | 대상 |
---|---|---|---|
전기기사 | 전기자기학 | 벡터, 전류, 전자계의 기본개념 | 공동주택 및 집합건물 전기설비관리 담당자 |
전력공학 | 가공송전선로, 유도장해 및 이상전압, 다양한 발전방식 | ||
전기기기 | 발전기, 변압기, 유도기, 정류기의 구비조건 |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 직류 및 교류이론, 단자 회로망, 회로이론의 공식 | ||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 전기설비, 전선로, 전기사용 장소의 공사방법 |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전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전기제어공학과, 전기정보시스템공학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 · 예술 · 디자인 · 방송 중 방송, 건설, 기계, 재료, 정보통신, 안전관리, 환경 · 에너지
종목명 |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전기기사 | 2023 | 51,630 | 11,477 | 22.20% | 23,643 | 8,774 | 37.10% |
전기기사 | 2022 | 52,187 | 11,611 | 22.20% | 32,640 | 12,901 | 39.50% |
전기기사 | 2021 | 60,500 | 13,365 | 22.1% | 33,816 | 9,916 | 29.3% |
전기기사 | 2020 | 56,376 | 15,970 | 28.3% | 42,416 | 7,151 | 16.9% |
전기기사 | 2019 | 49,815 | 14,512 | 29.1% | 31,476 | 12,760 | 40.5% |
전기기사 | 2018 | 44,920 | 12,329 | 27.4% | 30,849 | 4,412 | 14.3% |
전기기사 | 2017 | 43,104 | 10,831 | 25.1% | 25,309 | 9,457 | 37.4% |
전기기사 | 2016 | 38,632 | 9,085 | 23.5% | 23,089 | 4,676 | 20.3% |
전기기사 | 2015 | 33,071 | 8,095 | 24.5% | 18,636 | 3,060 | 16.4% |
전기기사 | 2014 | 28,593 | 6,135 | 21.5% | 15,426 | 3,299 | 21.4% |
전기기사 | 2013 | 28,024 | 4,937 | 17.6% | 14,362 | 2,251 | 15.7% |
전기기사 | 2012 | 27,672 | 5,579 | 20.2% | 11,336 | 1,752 | 15.5% |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2025년 정기 기사 1회 | 2025.01.13 ~ 2025.01.16 [빈자리접수 : 2025.02.01 ~ 2025.02.02] |
2025.02.07 ~ 2025.03.04 |
2025.03.12 | 2025.03.24 ~ 2025.03.27 | 2025.04.19 ~ 2025.05.09 | 2025.06.13 |
2025년 정기 기사 2회 | 2025.04.14 ~ 2025.04.17 |
2025.05.10 ~ 2025.05.30 |
2025.06.11 | 2025.06.23 ~ 2025.06.26 | 2025.07.19 ~ 2025.08.06 | 2025.09.12 |
2025년 정기 기사 3회 | 2025.07.21 ~ 2025.07.24 |
2025.08.09 ~ 2025.09.01 |
2025.09.10 | 2025.09.22 ~ 2025.09.25 | 2025.11.01 ~ 2025.11.21 | 2025.12.24 |
열사용처에 있어서 연료 및 열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하고, 연료사용 기구의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연료자원의 보전과 기업의 합리화에 기여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자격 제도 제정하였다.
각종 산업기계, 공장, 사무실, 아파트 등에 보일러 및 관련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지도, 안전관리를 위한 점검, 보수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유류용, 가스, 연탄 등 각종 보일러 및 열사용기자재의 제작, 설치시 효율적인 열설비류를 위한 시공을 감독하고 보일러의 작동, 배관상태 등을 점검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사무용 빌딩, 아파트, 호텔 및 생산공장 등 열설비류를 취급하는 모든 기관과 보일러 검사 및 품질관리부서, 소형공장에서 대형공장까지 보일러 담당부서, 보일러 생산 업체, 보일러 설비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인력수요가 주로 가을과 겨울철에 편중되고 있으며,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절약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어 열관리기사의 고용은 현수준을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교육명 | 목표 | 교육내용 | 대상 |
---|---|---|---|
에너지관리산업기사(필기) | 열 및 연소설비 | 열역학, 이상기체,증기, 연소이론 | 보일러 및 열설비 업무를 하는 자 |
열설비설치 | 계측원리, 유체측정, 열측정, 열에너지 | ||
열설비운전 | 요로, 내화물, 단열재, 보온재, 배관, 보일러 | ||
열설비안전관리 및 검사기준 | 보일러 안전관리, 에너지 관련 법규 |
교육명 | 목표 | 교육내용 | 대상 |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실기) | 열설비취급 실무 | 열역학, 연소장치, 계측기기, 배관작업 | 보일러 및 열설비 업무를 하는 자 |
※ 관련학과 :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기계과, 기계설계과, 건축설비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중 토목, 기계, 재료, 전기 ∙ 전자 중 전기
종목명 |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2023 | 4,226 | 1,306 | 30.90% | 2,126 | 683 | 32.10%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2022 | 4,313 | 1,371 | 31.80% | 2,142 | 892 | 41.60%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2021 | 3,349 | 1,163 | 34.7% | 1,373 | 540 | 39.3%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2020 | 1,685 | 540 | 32% | 755 | 357 | 47.3%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2019 | 1,582 | 483 | 30.5% | 644 | 269 | 41.8%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2018 | 1,190 | 357 | 30% | 531 | 228 | 42.9%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2017 | 1,187 | 286 | 24.1% | 487 | 188 | 38.6%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2016 | 1,322 | 379 | 28.7% | 504 | 176 | 34.9%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2015 | 1,173 | 268 | 22.8% | 579 | 197 | 34%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2014 | 1,020 | 158 | 15.5% | 964 | 202 | 21%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2013 | 122 | 28 | 23% | 40 | 17 | 42.5%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2012 | 142 | 42 | 29.6% | 43 | 4 | 9.3% |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2025년 정기 기사 1회 | 2025.01.13 ~ 2025.01.16 [빈자리접수 : 2025.02.01 ~ 2025.02.02] |
2025.02.07 ~ 2025.03.04 |
2025.03.12 | 2025.03.24 ~ 2025.03.27 | 2025.04.19 ~ 2025.05.09 | 2025.06.13 |
2025년 정기 기사 2회 | 2025.04.14 ~ 2025.04.17 |
2025.05.10 ~ 2025.05.30 |
2025.06.11 | 2025.06.23 ~ 2025.06.26 | 2025.07.19 ~ 2025.08.06 | 2025.09.12 |
2025년 정기 기사 3회 | 2025.07.21 ~ 2025.07.24 |
2025.08.09 ~ 2025.09.01 |
2025.09.10 | 2025.09.22 ~ 2025.09.25 | 2025.11.01 ~ 2025.11.21 | 2025.12.24 |
열사용처에 있어서 연료 및 열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하고, 연료사용 기구의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연료자원의 보전과 기업의 합리화에 기여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자격 제도 제정하였다.
각종 산업기계, 공장, 사무실, 아파트 등에 보일러 및 관련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지도, 안전관리를 위한 점검, 보수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유류용, 가스, 연탄 등 각종 보일러 및 열사용기자재의 제작, 설치시 효율적인 열설비류를 위한 시공을 감독하고 보일러의 작동, 배관상태 등을 점검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사무용 빌딩, 아파트, 호텔 및 생산공장 등 열설비류를 취급하는 모든 기관과 보일러 검사 및 품질관리부서, 소형공장에서 대형공장까지 보일러 담당부서, 보일러 생산 업체, 보일러 설비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인력수요가 주로 가을과 겨울철에 편중되고 있으며,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절약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어 열관리기사의 고용은 현수준을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교육명 | 목표 | 교육내용 | 대상 |
---|---|---|---|
에너지관리기사 (필기) | 연소공학 | 연소이론, 연소설비, 연소안전 | 보일러 및 열설비 업무를 하는 자 |
열역학 | 열역학 법칙, 이상기체, 증기동력 사이 클, 냉동 사이클 | ||
계측방법 | 계측원리, 유체측정, 열측정 | ||
열설비재료 및 관계법규 | 요로, 내화물, 단열재, 보온재, 배관 및 밸브, 에너지 법규 | ||
열설비설계 | 열설비, 수질관리, 안전관리 |
교육명 | 목표 | 교육내용 | 대상 |
---|---|---|---|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 열관리실무 | 보일러 및 부속장치,열설비 재료, 열전달, 열설비 설계 | 보일러 및 열설비 업무를 하는 자 |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건축설비공학과, 에너지공학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중 토목, 기계, 재료, 전기 · 전자 중 전기
종목명 |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에너지관리기사 | 2023 | 8,997 | 3,041 | 33.80% | 5,209 | 2,052 | 39.40% |
에너지관리기사 | 2022 | 7,187 | 2,529 | 35.20% | 4,240 | 1,126 | 26.60% |
에너지관리기사 | 2021 | 5,497 | 2,149 | 39.1% | 2,815 | 622 | 22.1% |
에너지관리기사 | 2020 | 3,409 | 1,299 | 38.1% | 2,242 | 1,210 | 54% |
에너지관리기사 | 2019 | 3,534 | 1,527 | 43.2% | 2,260 | 1,221 | 54% |
에너지관리기사 | 2018 | 2,947 | 1,229 | 41.7% | 1,776 | 617 | 34.7% |
에너지관리기사 | 2017 | 2,666 | 956 | 35.9% | 1,450 | 886 | 61.1% |
에너지관리기사 | 2016 | 2,611 | 981 | 37.6% | 1,168 | 722 | 61.8% |
에너지관리기사 | 2015 | 2,180 | 651 | 29.9% | 1,212 | 790 | 65.2% |
에너지관리기사 | 2014 | 1,988 | 563 | 28.3% | 1,208 | 185 | 15.3% |
에너지관리기사 | 2013 | 1,749 | 479 | 27.4% | 1,013 | 206 | 20.3% |
에너지관리기사 | 2012 | 1,597 | 371 | 23.2% | 655 | 245 | 37.4% |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2025년 정기 기사 1회 | 2025.01.13 ~ 2025.01.16 [빈자리접수 : 2025.02.01 ~ 2025.02.02] |
2025.02.07 ~ 2025.03.04 |
2025.03.12 | 2025.03.24 ~ 2025.03.27 | 2025.04.19 ~ 2025.05.09 | 2025.06.13 |
2025년 정기 기사 2회 | 2025.04.14 ~ 2025.04.17 |
2025.05.10 ~ 2025.05.30 |
2025.06.11 | 2025.06.23 ~ 2025.06.26 | 2025.07.19 ~ 2025.08.06 | 2025.09.12 |
2025년 정기 기사 3회 | 2025.07.21 ~ 2025.07.24 |
2025.08.09 ~ 2025.09.01 |
2025.09.10 | 2025.09.22 ~ 2025.09.25 | 2025.11.01 ~ 2025.11.21 | 2025.12.24 |
건축물이 대규모화되고 건축설비 부분에서 종류와 규모가 방대해지고, 운영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건축물에 설비하는 모든 공작물을 설계, 시공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필요하게 되어 제정하였다.
건축설비산업기사는 위생설비, 공기조화설비, 자동제어설비, 소방설비 등을 설치될 각 건축물의 조건에 적합하게 시공하고, 유지하며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일반건설회사와 전문건설회사, 감리전문회사에 취업할 수 있으며, 그밖에 주택건설회사, 건축설계회사, 엔지니어링회사, 기술사사무소, 안전진단전문기관, 건설품질검사전문기관, 측량회사, 유지관리회사, 건설교육기관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정부의 주택자금 및 세제지원, 주택거래 및 공급에 대한 규제완화 등 건설 및 부동산경기
활성화 정책의 시행과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건축허가 면적과 건설 수주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반전되는 등 건설 및 부동산경기가 회복되고 있으며, 건축물규모의 대형화되고 있으므로 건축설비기사 자격취득자에 대한 인력 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교육명 | 목표 | 교육내용 | 대상 |
---|---|---|---|
건축설비산업기사 (필기) | 건축설비계획 | 건축계획, 일반구조, 건축환경 | 건축물 설비 설계, 시공업무를 수행하는 자 |
건축설비설계 |
급수설비, 급탕설비, 배수 및 통기설비, 위생기구 및 배관재료, 오수처리설비, 소방설비, 가스설비 공기조화 부하계산, 난방설비, 공기조화계획, 공기조화용 기기, 배관설비, 덕트설비, 환기 및 배연설비 |
||
건축설비관계법규 | 건축법, 소방시설법 |
교육명 | 목표 | 교육내용 | 대상 |
---|---|---|---|
건축설비산업기사 (실기) | 건축설비설계 및 시공 실무 | 기초, 부하계산, 장비용량계산, 적산, 시공기술, 에너지 계획 수립, 설계도서작성 | 건축물 설비 설계, 시공업무를 수행하는 자 |
※ 관련학과 : 건축설비산업기사는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건축, 건축공학, 건축설비, 건축설비기계공학 등 관련 학과에서 건축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면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기능대학이나 직업전문학교의 관련 학과, 기술전문학원의 강좌를 통해서도 자격시험을 준비할 수 있다.
※ 동일직무분야 : 경영ㆍ회계ㆍ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ㆍ예술ㆍ디자인ㆍ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ㆍ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ㆍ에너지
종목명 |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건축설비산업기사 | 2023 | 3,339 | 1,575 | 47.20% | 2,378 | 502 | 21.10% |
건축설비산업기사 | 2022 | 2,978 | 1,507 | 50.60% | 1,736 | 559 | 32.20% |
건축설비산업기사 | 2021 | 1,953 | 943 | 48.3% | 1,002 | 181 | 18.1% |
건축설비산업기사 | 2020 | 793 | 410 | 51.7% | 527 | 100 | 19% |
건축설비산업기사 | 2019 | 892 | 290 | 32.5% | 422 | 77 | 18.2% |
건축설비산업기사 | 2018 | 807 | 262 | 32.5% | 442 | 101 | 22.9% |
건축설비산업기사 | 2017 | 862 | 326 | 37.8% | 448 | 121 | 27% |
건축설비산업기사 | 2016 | 888 | 266 | 30% | 357 | 74 | 20.7% |
건축설비산업기사 | 2015 | 850 | 195 | 22.9% | 291 | 92 | 31.6% |
건축설비산업기사 | 2014 | 975 | 287 | 29.4% | 438 | 112 | 25.6% |
건축설비산업기사 | 2013 | 1,001 | 276 | 27.6% | 426 | 64 | 15% |
건축설비산업기사 | 2012 | 1,004 | 205 | 20.4% | 372 | 68 | 18.3% |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2025년 정기 기사 1회 | 2025.01.13 ~ 2025.01.16 [빈자리접수 : 2025.02.01 ~ 2025.02.02] |
2025.02.07 ~ 2025.03.04 |
2025.03.12 | 2025.03.24 ~ 2025.03.27 | 2025.04.19 ~ 2025.05.09 | 2025.06.13 |
2025년 정기 기사 2회 | 2025.04.14 ~ 2025.04.17 |
2025.05.10 ~ 2025.05.30 |
2025.06.11 | 2025.06.23 ~ 2025.06.26 | 2025.07.19 ~ 2025.08.06 | 2025.09.12 |
2025년 정기 기사 3회 | 2025.07.21 ~ 2025.07.24 |
2025.08.09 ~ 2025.09.01 |
2025.09.10 | 2025.09.22 ~ 2025.09.25 | 2025.11.01 ~ 2025.11.21 | 2025.12.24 |
건축물이 대규모화되고 건축설비 부분에서 종류와 규모가 방대해지고, 운영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건축물에 설비하는 모든 공작물을 설계, 시공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필요하게 되어 제정하였다.
건축설비기사는 위생설비, 공기조화설비, 자동제어설비, 소방설비 등을 설치될 각 건축물의 조건에 적합하게 시공하고, 유지하며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일반건설회사와 전문건설회사, 감리전문회사에 취업할 수 있으며, 그밖에 주택건설회사, 건축설계회사, 엔지니어링회사, 기술사사무소, 안전진단전문기관, 건설품질검사전문기관, 측량회사, 유지관리회사, 건설교육기관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정부의 주택자금 및 세제지원, 주택거래 및 공급에 대한 규제완화 등 건설 및 부동산경기
활성화 정책의 시행과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건축허가 면적과 건설 수주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반전되는 등 건설 및 부동산경기가 회복되고 있으며, 건축물규모의 대형화되고 있으므로 건축설비기사 자격취득자에 대한 인력 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교육명 | 목표 | 교육내용 | 대상 |
---|---|---|---|
건축설비기사 (필기) | 건축일반 | 건축계획, 일반구조, 건축환경 | 건축물 설비 설계, 시공업무를 수행하는 자 |
위생설비 | 급수설비, 급탕설비, 배수 및 통기설비, 위생기구 및 배관재료, 오수처리설비, 소방설비, 가스설비 | ||
공기조화설비 | 공기조화 부하계산, 난방설비, 공기조화계획, 공기조화용 기기, 배관설비, 덕트설비, 환기 및 배연설비 | ||
소방 및 전기설비 | 전기설비, 건축 전기 설비 자동제어 | ||
건축설비관계법규 | 건축법, 소방시설법 |
교육명 | 목표 | 교육내용 | 대상 |
---|---|---|---|
건축설비기사 (실기) | 건축설비설계 및 시공 실무 | 기초, 부하계산, 장비용량계산, 적산, 시공기술, 에너지 계획 수립, 설계도서작성 | 건축물 설비 설계, 시공업무를 수행하는 자 |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건축공학, 건축설비공학, 기계공학 관련학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 · 예술 · 디자인 · 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 · 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 · 에너지
종목명 |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건축설비기사 | 2023 | 8,114 | 4,819 | 59.40% | 7,940 | 3,116 | 39.20% |
건축설비기사 | 2022 | 7,559 | 4,622 | 61.10% | 5,939 | 1,368 | 23% |
건축설비기사 | 2021 | 4,478 | 2,546 | 56.9% | 3,122 | 1,158 | 37.1% |
건축설비기사 | 2020 | 2,155 | 1,230 | 57.1% | 1,817 | 488 | 26.9% |
건축설비기사 | 2019 | 2,023 | 1,042 | 51.5% | 1,623 | 591 | 36.4% |
건축설비기사 | 2018 | 1,827 | 867 | 47.5% | 1,385 | 439 | 31.7% |
건축설비기사 | 2017 | 1,981 | 900 | 45.4% | 1,313 | 427 | 32.5% |
건축설비기사 | 2016 | 1,891 | 786 | 41.6% | 1,082 | 497 | 45.9% |
건축설비기사 | 2015 | 1,842 | 768 | 41.7% | 1,088 | 413 | 38% |
건축설비기사 | 2014 | 1,884 | 674 | 35.8% | 1,109 | 445 | 40.1% |
건축설비기사 | 2013 | 1,785 | 673 | 37.7% | 1,207 | 349 | 28.9% |
건축설비기사 | 2012 | 1,675 | 668 | 39.9% | 1,039 | 261 | 25.1% |
구분 | 필기원서접수 (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2025년 정기 기사 1회 | 2025.01.13 ~ 2025.01.16 [빈자리접수 : 2025.02.01 ~ 2025.02.02] |
2025.02.07 ~ 2025.03.04 |
2025.03.12 | 2025.03.24 ~ 2025.03.27 | 2025.04.19 ~ 2025.05.09 | 2025.06.13 |
2025년 정기 기사 2회 | 2025.04.14 ~ 2025.04.17 |
2025.05.10 ~ 2025.05.30 |
2025.06.11 | 2025.06.23 ~ 2025.06.26 | 2025.07.19 ~ 2025.08.06 | 2025.09.12 |
2025년 정기 기사 3회 | 2025.07.21 ~ 2025.07.24 |
2025.08.09 ~ 2025.09.01 |
2025.09.10 | 2025.09.22 ~ 2025.09.25 | 2025.11.01 ~ 2025.11.21 | 2025.12.24 |
1급 소방안전관리자란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한국소방안전원에서 시행하는 1급 소방안전관리자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소방안전관리자의 등급은 특급, 1급, 2급, 3급, 4단계로 나누어지며, 각 등급별로 관리 할 수 있는 건물의 규모가 달라진다.
(소방안전관리자 시험은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동법 시행령 제31조, 동법 시행규칙 제22조를 근거로 한다.)
1급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되려면 1급 소방안전관리자 선임요건에서 요구하는 일정한 자격 요건을 갖추거나, 1급 소방안전관리자 일정 교육을 받고 1급 자격시험을 통과한 후, 1급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 받아야 한다.
소방안전관리자는 소방계획서의 작성, 자위소방대의 조직, 소방계획에 의한 소화 통보 피난 등의 훈련,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화기 취급의 감독, 그 밖의 소방안전관리상 필요한 업무를 수행한다.
취업 범위는 30층 이상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아파트, 연면적 1만 5천 제곱미터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가연성 가스를 1천톤 이상 저장 및 취급하는 시설이다.
교육명 | 목표 | 교육내용 | 대상 |
---|---|---|---|
소방안전관리자1급 | 제1과목 | 소방안전관리자 제도, 소방관계법령, 건축관계법령, 소방학개론, 화기취급감독 및 화재위험작업 허가 · 관리, 공사장 안전관리 계획 및 감독, 위험물 · 전기 · 가스 안전관리, 종합방재실 운영,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관리, 소방시설의 종류 및 기준, 소방시설(소화 · 경보 · 피난구조 · 소화용수 · 소화 활동설비)의 구조 |
1급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되기 위해 준비하는 자 |
제2과목 | 소방시설의 점검 · 실습 · 평가, 소방계획 수립 이론 · 실습 · 평가, 자위소방대 및 초기대응체계 구성 등 이론 · 실습 · 평가, 작동기능점검표 작성 실습 · 평가, 업무수행기록의 작성 · 유지 및 실습 · 평가, 구조 및 응급처치 이론 · 실습 · 평가, 소방안전 교육 및 훈련 이론 · 실습 · 평가, 화재 시 초기대응 및 피난 실습․평가 |
구분 | 응시자격 내용 | 비고 |
---|---|---|
학력 | 가. 대학 또는 고등학교에서 소방안전관리학과를 전공하고 졸업한 사람(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을 포함한다)으로서 해당 학과를 졸업한 후 2년 이상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또는 3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나.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요건을 갖춘 후 3년 이상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또는 3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1) 대학 또는 고등학교에서 소방안전 관련 교과목을 12학점 이상 이수하고 졸업한 사람 2) 법령에 따라 1)에 해당하는 사람과 같은 수준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으로서 해당 학력 취득 과정에서 소방안전 관련 교과목을 12학점 이상 이수한 사람 3) 대학 또는 고등학교에서 소방안전 관련 학과를 전공하고 졸업한 사람(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을 포함한다) 다. 소방행정학(소방학 및 소방방재학을 포함한다) 또는 소방안전공학(소방방재공학 및 안전공학을 포함한다) 분야에서 석사 이상 학위를 취득한 사람 |
가. 해당학과 졸업 + 2년 이상 나. 3년 이상 - 12학점 이상이수 - 소방안전관련 학과 졸업 다. 석사 이상 |
자격 · 경력 | 라. 5년 이상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마. 법 제34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강습교육 중 이 영 제33조 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강습교육을 수료한 사람 바.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후 특급 또는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보조자로 5년 이상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사.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후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보조자로 7년 이상 근무한 실무경력(특급 또는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보조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여 합산한다)이 있는 사람 아. 산업안전기사 또는 산업안전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2년 이상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또는 3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자. 제1호에 따라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 시험응시 자격이 인정되는 사람 |
라. 2급 + 5년 이상 마. 1급 강습교육 수료 바. 2급 +특급 또는 1급 보조자 + 5년 이상 사. 2급 + 2급보조자 + 7년 이상 아. 산업안전기사, 산업기사 + 2년이상 자. 특급 자격 |
※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은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24조 제3항에 따라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되어 근무한 경력은 제외함